본문 바로가기
책후기/심리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by 캡틴작가 2025. 8. 16.
반응형

 

 언제부턴가 서점에 가면 빠지지 않고 보이는 책 제목 속의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회복탄력성'입니다. 아마도 많은 현대인들이 역경을 어떻게든 이겨내고자 갈구하는 키워드가 아닐까 합니다. 다들 먹고살기 힘든 시기이니까요.

 

 회복 탄력성은 의사들에게도 필요합니다. 강도 높은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이 때문에 우울증을 겪는 의사들도 있었는데, 한 인물이 이들을 코칭하며 구원해 주었습니다. 그는 바로 게일 가젤(Dr. Gail Gazelle)입니다. 하버드 의대 코칭 연구소 설립 멤버인 그는 '의사들의 의사'로 불립니다.

 

 그는 대중들이 번아웃과 스트레스를 어떻게 회복탄력성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 한 권의 책에 정리했습니다. 바로 오늘의 추천 도서인「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입니다. 이번 글에선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책커버
책커버

 

 

회복탄력성의 의미


 회복 탄력성이란 인생의 역경과 도전에 맞설 때 마음의 원천에서 필요한 자원을 끌어올 수 있는 내적인 능력을 말합니다. 저자는 회복 탄력성을 우물(원천)에 비유합니다. 시원하고 맑은 생수를 우물에서 떠 마시듯, 회복 탄력성은 우리가 역경을 뚫고 나아갈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회복의 원천인 회복탄력성의 주춧돌은 너그러움공감입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조금은 관대하게 대하고, 공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조차 나를 지원하지 않으면, 나라는 존재는 벼랑 끝에 몰릴 겁니다. 나에 대한 너그러움과 공감은 곧 자신에 대한 평가로 이어지고, 자신에 대한 평가는 회복탄력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가 인생의 역경을 뚫고 나아가려면 회복탄력성을 키워야 하는데요, 과연 회복탄력성은 어떻게 키울 수 있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유연한 관점


 탄력이라는 말 안에는 유연함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유연함은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앞서 언급한 너그러움도 유연함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자는 불교에서 비롯된, 아래의 3가지 존재의 징표를 언급합니다.

  1. 나쁜 일은 늘 일어나기 마련이다.
  2. 모든 것은 변한다.
  3. 우리가 진짜 주인공인 경우는 드물다.

 자연의 흐름대로, 피할 수 없는 불변의 진리를 인정하면 마음이 편해집니다. 인생을 그대로 수용하고, 과거를 흘려보내고, 새로운 변화에 마음을 열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유연한 관점을 가짐으로써 고정관념을 없앨 수 있고, 자신의 한계를 긋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써 다양한 대안을 떠올릴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위기를 극복하고 더 발전할 수 있는 것이죠. 

 

 저자는 유연한 관점을 키우는데 도움 될 명상법도 함께 소개합니다. 바로 혼자 조용한 공간에서, 과거에 큰 어려움을 극복했을 때 나의 어떤 강점을 이용했었는지 떠올려 보는 것입니다. 과거의 발휘했던 강점을 현재의 어려움에도 대입해 보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볼 수도 있습니다. 

 

닥터-게일-가젤-출처-gailgazelle.com
닥터-게일-가젤-출처-gailgazelle.com

 

자기 돌봄


 인생이 바빠지면 보통 나 자신을 챙기는 건 후순위로 밀려납니다. 그런데 내가 나를 챙기지 않으면, 누가 따로 챙겨주지 않습니다. 스스로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챙겨야 하는 이유입니다. 자신을 돌보지 않으면 연료 없이 달리게 되고, 번아웃이 옵니다. 자기 돌봄이 필요한 것이죠.

 

 유독 자신에게만 혹독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오히려 타인이었다면 공감하며 넘어갔을 일을, 자신에겐 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며 비판합니다. 나에게 엄격할수록 스트레스는 늘어나고, 회복탄력성은 고갈됩니다. 대신, 자기 공감을 통해 내면에 의지할 만한 버팀목이 되어야 합니다.

 

 자기 돌봄을 위해서는 나만의 시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특정 시간은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도록 비우고, 그 시간을 위한 규칙과 목표를 세워보는 것입니다. 운동이든 제시간에 잠자기든 뭐든 좋습니다. 바로 실행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것이면 됩니다. 목표 달성을 통한 쾌감을 스스로에게 선사하며 나를 위한 시간을 가진다면,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인생의 여러 시련을 헤쳐가려면, 헤쳐나갈 수 있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그 에너지는 바로 회복탄력성입니다.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극복하기 위한 유연한 관점을 갖고, 나를 돌보며 회복탄력성을 쌓아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완벽하지 못하다고 몰아붙이는 대신, 오늘 하루 수고했다고 나를 공감해 주세요. 마라톤인 인생에서, 내가 나의 최고의 동반자이니까요!

반응형

댓글